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사이야기80

조선의 왕권 계승을 상징하는 공간 - 경복궁"계조당"의 부활 110년 만의 부활 왕세자의 공간 " 계조당" 경복궁 내 '계조당(繼照堂)'이 6년간의 복원을 거쳐 20일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이 건물은 조선의 왕권 계승을 상징하는 공간으로서 왕세자의 집무실로 활용되었던 곳으로, 1910년의 일제 강점기 이후 약 110년 만에 제 원형을 되찾게 되었습니다. 과거와 현재, 경복궁 '계조당'의 역사 계조당은 1443년에 조선의 세종(1397∼1450)이 왕세자였던 문종(1414∼1452)을 위해 건립한 건물로, 그 이름부터가 왕위 계승을 상징합니다. 이 건물은 경복궁 동쪽에 위치하며, 문종의 집무 공간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신하들이 왕세자에게 진찬(음식을 올리는 궁중 잔치)을 올리는 장소로도 활용되었습니다. 그러나 문종 승하 뒤에는 이 건물이 헐리고, 1891년 고.. 2023. 10. 31.
창덕궁 인정전과 일월오봉도, 사령도 창덕궁 인정전의 역사와 일월오봉도 그리고 사령도 창덕궁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장소 중 하나로 꼽힙니다. 그 중에서도 인정전의 일월오봉도와 사령도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창덕궁의 이 두 작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일월오봉도: 조선 왕실의 권위와 덕성을 상징하는 그림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는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병풍 그림으로, 해와 달, 그리고 다섯 개의 산을 그린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조선 왕실의 권위와 덕성을 상징하는 그림으로, 왕궁의 어좌 뒤편에 놓여 있습니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와 달의 상징: 중앙에는 해와 달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해는 왕을, 달은 왕비를 상징합니다. 다섯 개의 산: 해와 달의 양쪽에는 각각 다섯 개의 산이 .. 2023. 10. 26.
금오계첩 – 의금부: 조선시대의 중요한 사법 기관 의금부(금오계첩) , 관리들의 사생활을 엿보다 의금부, 조선시대 특별사법 관청으로, 조선 왕조의 중요한 사법 기관 중 하나였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의금부의 의미, 역사, 구성, 역할, 그리고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의금부의 의미 의금부는 조선시대에 조옥(詔獄), 금부(禁府), 왕부(王府), 금오(金吾)라고도 불렸던 특별사법 관청이었습니다. 이 기관은 포도(捕盜), 순작(巡綽), 금란(禁亂)의 임무를 관장하였으며, 이들 임무의 관리와 수행을 담당했습니다. 조선시대 학자 정약용은 "의금부가 옥사(獄事)를 다스리는 관가이고 순찰하는 책임이 없으니 금오라 부르는 것은 잘못이다."라고 언급하여, 이 기관이 주로 사법 활동에 종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 의금부의 역사 의금부의 역사는 고려 시대.. 2023. 10. 24.
경교장,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 "경교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동에 위치한 경교장은 국내에서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 문화재입니다. 이곳은 백범 김구의 개인 사저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피살 장소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경교장의 역사와 중요성, 복원과 관리 과정, 그리고 현재까지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건축배경 경교장은 1938년에 지어진 건물로, 일제강점기 때 평안북도의 수많은 금광 중 삼성금광으로 벼락부자가 된 친일 기업인 최창학의 개인 소유 자택이었습니다. 그리고 처음에는 '죽첨장'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곳이었죠. 이 건물은 당시의 문화주택 붐에 힘입어 건설되었지만, 최창학은 본인이 바로 뒤에 있는 한옥에서 생활했습니다. 한편, 경교장은 서양문물의 영향을 받아 .. 2023. 10. 18.
한미동맹 - 역사, 중요성 및 현대적의미 여러분 올해는 한국과 미국이 동맹을 맺은지 70년이 되는 해 입니다.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는 한미동맹에 관해 특별전을 열고 있습니다. 한번 가보실 만한 전시라 생각합니다. 저는 한미동맹의 역사와 중요성 현대적 의미를 되새겨보고 한미동맹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과 의미를 생각해보고자 포스팅 하게되었습니다. 한미동맹이야기 한미동맹은 한국과 미국 간의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협력을 강화하고 국제 안보와 평화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강력한 동맹 관계를 나타냅니다. 1. 역사: 한미동맹의 기원 한미동맹은 1953년 한국전쟁 이후에 시작되었습니다. 이 전쟁은 한반도에 안전과 안정을 회복하기 위해 미국과 다른 국가들이 한국을 돕기 위해 참여한 중요한 순간 중 하나였습니다. 전쟁이 종결될 때 한.. 2023. 10. 15.
효명세자의 성균관 입학례를 기록한 [왕세자 입학도첩] 효명세자의 성균관 입학례를 담은 "왕세자입학도첩" 국내 유일본 유일하게 1점만 남아 있는 『왕세자입학도첩』은 1817년(순조 17) 3월 11일 성균관에서 거행된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 뒤에 익종(翼宗)으로 추존)의 입학례를 기념한 화첩이다. 2010년 6월 17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307호로 지정되었다. 1817년(순조17) 3월 17일 순조의 맏아들인 효명세자의 성균관 입학례를 그린 6폭의 그림. 왕세자가 창경궁 홍화문을 나와 성균관으로 향하는 모습부터 입학례를 마치고 궁으로 돌아와 문무 관원들과 종친들의 축하를 받는 모습까지 입학례 과정이 담겨있다. 왕세자 입학도첩의 구성 출궁도 : 왕세자가 창경궁 홍화문을 나와 성균관으로 향하는 모습 작헌도 : 왕세자가 성균관 대성전에 있는.. 2023.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