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이야기80 창경궁의 역사: 한국의 궁궐과 문화의 중요한 유산 세계문화유산 창경궁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탐험하면, 그 중심에는 아름다운 궁궐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창경궁은 특별한 곳으로, 그 역사와 확장, 훼손, 복원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창경궁의 역사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창경궁의 건립과 확장 창경궁은 한국의 대표적인 궁궐 중 하나로, 성종 15년(1484년)에 건립되었습니다. 성종은 할머니 자성왕대비 윤씨, 어머니 인수대비 한씨, 숙모 인혜대비 한씨를 모시려고 수강궁을 확장한 것입니다. 수강궁은 태종이 상왕으로 물러 났을 때에 여기로 거처를 옮겼고 이름을 수강궁(壽康宮)이라 했습니다. 단종도 수양대군에게 양위 후 여기로 옮겼다가 단종복위운동 실패로 쫓겨났습니다. 성종 때에는 정전인 명정전(明政殿), 편전인 문.. 2023. 9. 12. 창경궁의 사건 사고 일제강점기의 창경궁 이야기 창경원으로의 변화 창경원은 1909년부터 1983년까지 서울 창경궁의 일부를 동물원과 놀이동산으로 개방한 곳이었습니다. 창경원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경제발전기 등 다양한 시대를 거치면서 많은 변화와 사건을 겪었습니다. 창경원시절의 사건사고 표범 피습 사건 1979년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중인 1935년 10월의 일이라고 한다. 요시가와(吉川)라는 일본인 사육사가 아무르표범 우리를 청소하고 있었는데, 닫힌 줄 알았던 내실 문이 열려 있었다. 살그머니 기어나온 표범이 사육사를 정면에서 덮쳤고, 한데 엉킨 사육사와 표범은 한덩어리가 되어 우리에서 굴러나왔다. 이때 마침 동물원 경비를 맡고 있던 일본군 헌병 장교가 지나가다가 현장을 발견하고 군도를 뽑아 표범을 찔러 .. 2023. 9. 11. 조선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 덕혜옹주, 라스트 프린세스 여러분 오늘은 영화 , 뮤지컬, 소설로 많이 알고 계시는 덕혜옹주에 관한 이야기를 포스팅해 보았습니다. 고종의 막내 딸 덕혜옹주 '덕혜'(德惠)는 1921년에 이복오빠 순종이 내려준 작호인데, 그 이전에 따로 이름이 있었다는 기록이 없다. 한국 측의 기록에는 그냥 '아기씨', '복녕당 아기', 일본 측의 기록에는 姬(ひめ, 아가씨)로만 되어 있다. 그래서인지 훗날 대한민국 호적에도 '이덕혜'(李德惠)가 성명으로 올라갔다. 덕혜옹주의 삶을 다룬 여러 매체에서도 '황녀 이덕혜'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고종이 59세일 때 얻은 늦둥이이자 당시 유일한 고명딸이어서, 덕혜옹주는 극진한 총애를 받으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런 일화도 있다. 고종이 아기였던 덕혜옹주를 보기 위해 입실했을 때.. 2023. 9. 9. 청와대, 우리 역사의 중심 안녕하세요? 오늘은 옛 경복궁 후원 자리에 위치한 청와대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청와대를 가보신 적은 있으실거에요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과 동시에 전면개방되어 많은 분들이 찾아가 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청와대의 역사에 관해서는 잘모르실거에요. 그래서 청와대의 역사와 참고하실 만한 정보 들을 안내 드리려고 해요. 목차 1. 청와대의 현재와 과거 1.1 청와대의 역사 2. 청와대 관람정보 2.1 청와대 해설 프로그램 소개 2.2 해설시간 안내 2.3 관람해설 유의사항 2.4 청와대관람 안내지도 2.5 구본관 터(수궁터) 2.6 청와대 3.마무리 자주묻는질문(Q&A) 1. 청와대의 현재와 과거 1.1 청와대의 역사 청와대의 역사는 고려시대부터 시작됩니다. 고려 숙종 때인 1104년에 이곳에 이궁이.. 2023. 9. 7. 종묘제례악 : 조선왕조의 역사와 문화를 노래하다 1.종묘제례악의 의미와 역사적 배경 1.1 종묘제례악이란? 조선왕조의 역대 임금과 왕후의 신위를 모신 종묘에서 제사를 드릴 때 연주하는 음악과 노래, 춤의 총칭입니다. 이 음악은 세종대왕과 세조대왕의 노력으로 형성되었으며, 그 중요성은 2001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1.2 종묘제례악의 역사적 배경 1. 고려시대 (918-1392): 종묘제례악의 기원은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때 종묘제례악은 제사와 의식을 위한 음악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관혼악(官婚樂)이라고도 불리는 종묘 음악이 발전했습니다. 2. 조선시대 (1392-1910): 조선 왕조 시대에는 종묘제례악이 귀족 사회와 궁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음악은 조선왕조의 제사와.. 2023. 9. 4. 영리하고 효성스러운 세자 - 효명세자 효명세자 이야기 오늘은 역사 교과서에도 잘 나오지 않은 인물에 대해 소개 하려고 합니다.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에대한 이야기 인데요 영리하고 효성스럽다는 뜻으로 효명이라 지었다고 합니다. 효명세자는 부모인 순조와 순원왕후를 위해 창덕궁 후원에 "연경당"을 지어 창작무용을 올려드렸다고 합니다. 목 차 1. 효명세자의 짧은 생애 2. 효명세자의 궁중 연회와 예악 창작 3. 효명세자를 기억하는 공간 효명세자의 짧은 생애 효명세자는 순조와 순원왕후의 원자로, 1809년에 창덕궁 대조전에서 태어났습니다. 효명세자는 왕비의 소생으로 태어난 세자였는데, 이는 숙종 이후 150년 만에 처음이었습니다. 효명세자는 총명하고 예술적 재능이 뛰어난 인물로, 궁중무용인 정재를 집대성하는 데 큰 공헌을 했습니다. 춘앵전, 가인전목.. 2023. 9. 2.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