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60 남양주 여행 - 다산정약용유적지 자연과 조화를 이룬 다산 정약용 유적지 여려분 안녕하세요? 남양주에 가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저는 남양주에서도 한강과 맞닿아 있는 다산 정약용 선생 유적지에 가보았습니다. 혹시 이곳을 차근 차근 둘러 보신적 있다면 자연과 어우러져 고즈넉한 분위기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다산 정약용 유적지를 차근 차근 돌아보겠습니다. 다산 정약용 유적지 전경과 안내도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있는 다산정약용선생의 유적지이다. 다산정약용선생은 이 마을에서 태어나 조선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결국은 오랜 유배생활 끝에 고향인 이곳에서 숨을 거두었습니다. 유배생활 동안 목민심서, 경세유표 등 많은 저서를 남겨 조선 후기 최고의 실학자로 평가 받고 있다. 유적지 내에는 그의 생가인 여유당(與猶堂)과 선생의 묘, 다산문화관.. 2023. 8. 28. 정조의 싱크탱크 -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대하여 다산 정약용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학창시절, 역사 시간에 실학에 대해 배우면서 보게되는 인물이 “ 다산 정약용” 선생일 텐데요. 정약용 선생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유적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산 정약용 영정사진 다산 정약용 선생의 생애와 업적 ① 출생 이후 과거를 준비하며 지내던 22세까지 다산 정약용은 1762년 경기도 광주부 마재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부친 정재원은 음사로 벼슬을 하였으나, 당시의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벼슬을 내려놓고 농촌에 귀의하였습니다. 그는 부친으로부터 경사(經史)를 배우면서 과거시험을 준비하였습니다. 그리고 16세가 되던 1776년에는 성호 이익의 학문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성호 이익은 근기학파의 중심적 인물이었으며, 기존의 성리.. 2023. 8. 28. 내가 먹고 있는 약품 정보 찾기 - 약학정보원 약학정보원 사용하기 여러분 두통약이나 소화제 많이 사용하시죠 그런데 어떤 성분이 있는지 약 먹을 때 주의해야 할 사항 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하시다구요? 그렇다면, 약학정보원 홈페이지를 통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검색에서 “약학정보원(https://www.health.kr)” 검색 약학정보원 메인화면 약학정보원은 약의 종류와 부작용 약의 성분들을 보기 쉽게 정리하여 약을 드시는 분들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입니다. 약학정보원 - 의약품 검색 클릭 의약품 검색을 클릭하는 화면 입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클릭해야할 메뉴입니다. 혼동하지 않도록 빨간색 으로 표시해 두었으니 잘보시고 따라해보세요 약학정보원 - 의약품 상세검색 화면 의약품 검색 메뉴를 클릭하면 보여지는 상세 검색 화면.. 2023. 8. 26. 고려에서 조선까지 최고의 공립 교육기관 -성균관 성균관이야기 여러분 성균관에 가보신 적이 있나요? 성균관은 KBS2TV 월화드라마“성균관 스캔들”이라는 드라마를 통해 많이 알려저 있습니다. 성균관 스캔들이라는 드라마는 성균관의 유생들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담고 있는데요 오늘은 KBS2TV 월화드라마“성균관 스캔들”의 배경이 되었던 성균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1. 성균관의 역사 성균관의 기원은 고려 시대에 거슬러 올라갑니다. 고려 충렬왕 24년(1298년)에 개경(현재의 개성)에 세워진 국자감이 성균감(成均監)으로 바뀌었습니다. 이후 충선왕이 즉위하면서 성균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공민왕 5년(1356년)에는 다시 국자감으로 환원하였으나, 1362년에는 성균관으로 복구되었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성균관이 한양과 개성에 한 곳씩 두 개가 존립.. 2023. 8. 26. 남산을 통해 본 우리 역사 남산의 현재와 과거 1. 남산의 역사 남산의 역사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남산은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한 산으로, 높이는 해발 270.85m입니다. 남산은 조선시대 초 태조가 1394년 풍수지리에 의해 도읍지를 개성에서 서울로 옮겨온 뒤에 남쪽에 있는 산이므로 ‘남산’으로 지칭되었으며, 풍수지리상으로 안산(案山)에 해당합니다. 또한 태조는 이 산에 목멱대왕(木覓大王)이라는 남신을 모신 국사당을 세워 나라의 평안을 비는 제사를 지냈습니다. 이 때문에 이 산은 목멱산(木覓山)이라고도 불렸습니다. 남산은 조선시대에 신성한 산으로 추앙받았습니다. 정상에는 국사당과 함께 봉수제도의 종점인 봉수대가 있었으며, 성벽 일부가 남아 당시의 흔적을 보여줍니다. 2. 남산을 부르던 이름 성불산(成佛山), 인경산(仁慶山), .. 2023. 8. 23. 근대화의 꿈 - 석조전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1. 석조전의 역사석조전은 고종황제가 아관파천(러시아공사관으로 옮김) 이후 경운궁(지금의 덕수궁)으로환궁한지 한 달이 되지않은 1897년 3월에 브라운이 통역관과 함께 경운궁안 지형을 측량했다는기사가 에 났던 것을 보아 이미 이 때부터 서양식 궁전 건설을기획한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석조전은 지금 중화전의 서북쪽, 준명당의 서쪽에 위치해 있는데 1897년에 건립하여 경술국치해인 1910년에 완공되어, 대한제국과 역사를 함께 한 역사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근대에 지은 덕수궁에는 서양식 건물인 양관(洋館)이 여러 채 도입되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대한제국의 근대화를 상징하고 황제국으로서의 위용을 보여주기 위해 지은 서양식 궁전이 석조전이라 할 수 있다. 대한제국 재정고문이던 영국.. 2023. 8. 22. 이전 1 ··· 22 23 24 25 26 2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