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난설헌의 비극적인 짧은 생애
허난설헌(許蘭舍軒)은 조선시대에 활약한 뛰어난 여성 시인과 화가로, 그의 삶과 작품은 그의 뛰어난 재주와 불행한 운명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허난설헌의 생애, 시인으로서의 활동, 그림 작품, 그리고 그녀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허난설헌의 생애
1.1 어린 시절
허난설헌은 어린 시절부터 글재주와 아름다운 용모로 주목받았습니다. 이미 어릴 때, 그녀는 오빠와 동생 사이에서 글을 배웠으며, 뛰어난 기억력과 글쓰기 능력으로 가족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그녀는 8세에 글 작품을 창작하며 "신동이"라는 칭호를 얻었고, 아버지 허엽은 그녀의 재주를 아끼며 직접 글을 가르치고 서예와 그림도 가르쳤습니다.
1.2 허균과의 학문
허난설헌의 재능을 아끼는 오빠 허봉의 주선으로 허균이 허성, 허봉과 친교가 있던 중인 시인 손곡 이달에게 시와 글을 배웠으며, 그림 작품 또한 다수 남겼습니다. 이후 그녀는 자호를 "난설헌" 또는 "난설재"라고 하게 됐습니다.
2. 불행한 결혼 생활
2.1 결혼 생활 초반
허난설헌은 15세에 안동김씨 김성립과 결혼했지만, 부부 간의 화목한 관계를 즐기지 못했습니다. 그녀의 글과 시 작품이 뛰어난 데 비해 남편 김성립은 그를 피하며 부부 간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남편은 관직을 나가 가정의 즐거움 대신 성묘를 즐기며 시어머니의 구박에 시달렸습니다.
2.2 남편과의 불화
한 번은 남편 김성립이 동아리 모임에서 술을 마신다는 소문을 듣고, 허난설헌은 시를 통해 그의 행동을 비판했습니다. 그의 글재주에 탄복한 김성립의 친구들은 그녀를 존경했습니다.
2.3 시집살이와 갈등
허난설헌은 남편과의 불화뿐만 아니라 시어머니와의 갈등으로 괴로워했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섬세한 필치와 독특한 감상을 담은 작품을 창작하며 그의 고통을 표현했습니다.
허난설헌의 쓸쓸한 마지막
허난설헌은 오빠 허봉이 율곡 이이를 비방한 후 귀양 가게 되었으며, 동생 허균도 귀양을 가게 되었습니다. 그런 불행한 연속으로 인해 그녀는 삶의 의욕을 잃었으며, 자신의 작품들을 소각했습니다. 이후 허균의 노력으로 그녀의 작품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4. 시와 그림 작품
4. 시와 그림 작품
허난설헌은 그림 작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작품도 남겼습니다. 그의 시는 섬세하고 감동적이며, 그림 역시 풍경화와 수묵담채화, 난초화 등을 통해 그녀의 예술적 재능을 드러냈습니다.
<허난설헌이 8세때 쓴 "광한전 백옥루 상량문">
허초희는 신선세계에 있다는 광한전 백옥루의 상량식에 초대받았다고 상상하면서 이 글을 지었다. 작자는 『태평광기(太平廣記)』와 같은 책을 즐겨 읽어서 신선에 대한 이해가 깊었으며, 또 거기에 풍부한 상상력이 결합되어, 이처럼 속세를 벗어난 작품을 창작한 것이다.
첫 부분에는 광한전 주인의 신선생활을 묘사하고, 그가 여러 신선들을 초대하기 위하여 광한전을 짓게 된 배경을 묘사하였다. 이 모임에 수십 명의 신선들이 동원되고 여러 기술자들이 동원되었지만, 상량문을 지을만한 시인이 없었다. 그래서 작자가 초대되어 이 상량문을 짓는다.
문체는 다른 상량문과 마찬가지로 포량(抛樑)의 동 · 서 · 남 · 북 · 상 · 하의 육위(六偉)가 묘사되고, 이 광한전이 신선세계에서 오래오래 서 있기를 기원하는 문장으로 끝난다. 이 상량문에서 허초희는 여성으로서 실현 불가능한 현실세계의 이상을 가상세계인 선계에 설정하고, 초속적(超俗的)인 이상향을 실현하고 있다.
상량문 내용
“어영차 동쪽으로 대들보 올리세. 새벽에 봉황타고 요궁에 들어가 날이 밝자 해가 부상 밑에서 솟아올라 일만 가닥 붉은 노을 바다에 비쳐 붉도다. 어영차, 남쪽으로 대들보 올리세. 옥룡이 하염없이 구슬못 물 마신다. 은평상에서 잠자다가 꽃그늘 짙은 한 낮에 일어나, 웃으며 요희를 불러 푸른 적삼 벗기네. 어영차, 서쪽으로 대들보 올리세. 푸른 꽃 시들어 떨어지고 오색 난새 우짖는데, 비단 천에 아름다운 글씨로 서왕모 맞으니, 날 저문 뒤에 학 타고 돌아가길 재촉한다. 어영차, 북쪽으로 대들보 올리세. 북해 아득하고 아득해 북극성에 젖어 드는데, 봉새 날개 하늘 치니 그 바람 힘으로 물이 높이 치솟아 구만리 하늘에 구름 드리워 비의 기운이 어둑하다. 어영차. 위쪽으로 대들보 올리세.”
<허난설헌의 작품 "앙간비금도">
'앙간비금도'란?
말 그대로 날짐승을 부러워하며 쳐다본다는 뜻이다.
작품 설명
종이에 채색으로 그린 <앙간비금도>는 허난설헌이 유년시절 강릉에서 가족과 함께 생활하던 때를 그린 그림으로 추정된다.
그림과 함께 왼쪽에는 '한견고인서(閒見古人書)'라는 글씨와 함께 허난설헌의 이름이 적혀있는데, '한견고인서'는 한가할 때에는 옛 사람의 글을 읽으라'는 뜻이다.
어려서부터 여신동(女神童)으로 불리며 용모와 천품이 뛰어났던 허난설헌의 이 그림은 당시 조선 사회에서 여성적 자아가 투영된 최초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뜰밖에 지팡이를 든 아버지로 보이는 인물과 다홍색 저고리를 입은 어린 소녀가 손을 잡고, 날아가는 새들을 바라보고 있다.
이 소녀야말로 허난설헌이 자신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이는데,
조선시대 문인화에 남자가 아닌 여자아이가 최초로 그려진 그림으로
자유로이 마음껏 하늘을 날아다니는 새를 부러워하는 그녀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허난설헌의 작품세계
조선사회의 모순과 계속 닥쳐온 가정의 문제들 때문에, 허난설헌의 시 213수 가운데에 세상을 떠나 신선세계로 들어가고 싶은 내용을 담은 시가 128수나 된다. 현실에서의 삶이 너무 고통스러워 탈현실의 천상 세계와 신선의 삶을 동경하면서 그런 세계를 허구화한 많은 작품을 남겼다.
널리 알려진 시로는 둘째 오라버니 허봉을 갑산으로 유배 보내는 안타까움을 읊은 「송하곡적갑산(送荷谷謫甲山)」이 있고, 강가 집에서 독서하는 서방님께 부치는 시로 「기부독서강사(寄夫讀書江舍)」, 죽은 자식을 향해 통곡하는 시로 「곡자(哭子)」, 감정을 삭이고 싶어서 지은 시로 「견흥(遣興)」, 가난한 집 처녀를 위한 노래 「빈녀음(貧女吟)」 3수 등이 있다.
국한문가사로는 「규원가(閨怨歌)」와 「봉선화가(鳳仙花歌)」가 있다. 그러나 「규원가」는 허균의 첩 무옥(巫玉)이 지었다고도 하고 「봉선화가」는 정일당김씨(貞一堂金氏)가 지었다고도 한다.
양천 허씨 5문장가 묵적
Tip! 묵적이란?
먹으로 쓴 필적이라는 듯으로 옛 문장가들이 남긴 글과 시문 등을 높여 이르는 말
마무리
허난설헌은 조선시대의 뛰어난 여성 시인과 화가로, 그녀의 작품과 삶은 불행과 재능, 열정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그녀는 여성 예술가로서의 중요성을 상징하며, 그녀의 작품은 오늘날까지도 감동과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Q&A)
Q1: 허난설헌의 주요 작품은 무엇인가요?
A1: 허난설헌의 주요 작품으로는 "유선시", "빈녀음", "곡자", "망선요" 등이 있으며, 그림 작품도 다양합니다.
Q2: 그녀의 삶에서 불행한 부분은 무엇인가요?
A2: 허난설헌은 결혼 생활과 가정 내 갈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또한 가족의 죽음과 잃은 아이들도 그녀의 삶을 어렵게 했습니다.
Q3: 그녀의 작품은 어떻게 평가되고 있나요?
A3: 처음에는 그녀의 작품은 그녀의 남편과 가족 간의 갈등으로 평가가 부정적이었지만, 후대의 지식인들과 평민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에서 재평가되며 그녀의 뛰어난 재주와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Q4: 그녀의 작품은 어디에서 볼 수 있나요?
A4: 허난설헌의 작품은 국내 및 국제 미술관,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으며, 온라인에서도 그녀의 시와 그림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Q5: 그녀의 영향력은 어떻게 평가되나요?
A5: 허난설헌은 여성 예술가로서의 중요성을 상징하며, 그녀의 작품은 여성 예술가의 업적을 기리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한국사이야기 > 인물이야기(고대~근현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명세자의 문학적 재능 (253) | 2023.11.16 |
---|---|
조선의 여걸, 인수대비 (235) | 2023.11.04 |
정조이야기 :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 (64) | 2023.09.15 |
영리하고 효성스러운 세자 - 효명세자 (22) | 2023.09.02 |
정조의 싱크탱크 - 다산 정약용 (7) | 202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