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이야기/인물이야기(고대~근현대)

세종과 장영실: 한국의 과학 발전을 이끈 위대한 두 인물

by 푸름이j 2023. 12. 9.
728x90
반응형

 

 조선시대, 과학의 발전을 이룬 과학자 장영실

 

 

 

장영실
지산 박영길 화백이 그린 장영실 초상화

 

 

장영실의 생애

생몰 연대는 아직 확실하지 않으나, 아산 장씨 종친회의 주장에 따르면 대략 1385년경에서 1390(우왕 11~공양왕 2)경이다. 또한 장성휘는 시조 장서의 8세손으로 고려 말 전서(典書)였으며 어머니는 동래현 관기로,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혼란기에 어머니와 장영실은 조선 관노로 전락하였다고 주장한다.

 

또한 장영실의 영자는 종친회에서 주장하는 부친 장성휘의 성자 항렬의 다음 세대의 항렬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일부에서 주장하는 대로 단순히 중국에서 건너온 사람의 자제라면 고대 중국식으로 외자로 이름을 짓고 자나 호를 짓거나, 아니면 평범한 이름으로 짓지, 당시의 아산 장씨 집안의 항렬에 맞게 짓고 족보에 올린다는 것은 유교적 정서에서 힘들기 때문이다.

그에게는 여동생이 한 명 있었다고 하며 사촌여동생이 당대의 천문학자 김담에게 시집갔다고 한다. 장영실은 어머니의 신분이 천민(기생)이라서 그 신분을 이어 받아 천민이었다.

 

장영실의 정확한 생몰년도는 알려지지 않는다. 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장영실의 어머니는 동래부 관기였고, 장영실의 아버지에 대해서는 중국 소주, 항주 지방 출신의 원나라 사람이라고 밝히고 있다.

 

실록에는 1423년 장영실이 상의원 별좌로 임명되었다는 내용이 등장하며, 이후 행사직(行司直), 1434년 호군(護軍) 등의 직책을 거쳐 1438년 대호군(大護君)까지 오른다. 그리고 후술할 가마가 부러지는 사고로 인해 파직된 것이 1442년이다. 따라서 이러한 활동 기록을 토대로 장영실의 출생 시기는 1385~1390년생 정도로 보고 있다.

 

 

 

장영실, 왕의 눈에 들다

장영실의 출신과 그가 어떻게 대호군의 자리에 올랐는지 조선왕조실록에 잘 나타나있다. 

장영실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 중, 그의 출신과 생애에 관한 기록을 소개하고자 한다.

 

행 사직(行司直) 장영실(蔣英實)은 그 아비가 본래 원()나라의 소주(蘇州항주(杭州) 사람(其父本大元蘇杭州人)이고, 어미는 기생이었는데, 공교(工巧)한 솜씨가 보통 사람에 뛰어나므로 태종께서 보호하시었고, 나도 역시 이를 아낀다.

 

임인·계묘년 무렵에 상의원(尙衣院) 별좌(別坐)를 시키고자 하여 이조 판서 허조와 병조 판서 조말생에게 의논하였더니, 허조는, ‘기생의 소생을 상의원에 임용할 수 없다. ’고 하고, 말생은 이런 무리는 상의원에 더욱 적합하다. ’고 하여, 두 의논이 일치되지 아니하므로, 내가 굳이 하지 못하였다가 그 뒤에 다시 대신들에게 의논한즉, 유정현(柳廷顯) 등이 상의원에 임명할 수 있다. ’고 하기에, 내가 그대로 따라서 별좌에 임명하였었다.

 

영실의 사람됨이 비단 공교한 솜씨만 있는 것이 아니라 성질이 똑똑하기가 보통에 뛰어나서, 매양 강무할 때에는 내 곁에 가까이 두고 내시를 대신하여 명령을 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어찌 이것을 공이라고 하겠는가. 이제 자격궁루(自擊宮漏)를 만들었는데 비록 나의 가르침을 받아서 하였지마는, 만약 이 사람이 아니더라면 암만해도 만들어 내지 못했을 것이다. 내가 들으니 원나라 순제(順帝) 때에 저절로 치는 물시계가 있었다 하나, 그러나 만듦새의 정교함이 아마도 영실의 정밀함에는 미치지 못하였을 것이다. 만대에 이어 전할 기물을 능히 만들었으니 그 공이 작지 아니하므로 호군(護軍)의 관직을 더해 주고자 한다.

세종실록, 세종 15(1433) 9163번째 기사

 

영실(英實)은 동래현(東萊縣) 관노(官奴)인데, 성품이 정교(精巧)하여 항상 궐내의 공장(工匠) 일을 맡았었다.

세종실록, 세종 16(1434) 714번째 기사

 

발명왕 장영실

앙부일구: 과학적인 보물의 탄생

1434년에 제작된 앙부일구는 장영실, 이천, 김조 등이 참여한 해시계로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그 중요성은 과학, 역사,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왔습니다.

 

앙부일구 사진
앙부일구 이미지

 

 자격루: 세종 시대의 국가 표준시계

자격루는 세종대왕 시대에 제작된 물시계로 국가 표준시계로 활용되었습니다. 장영실과 김조가 2년 간 협력하여 완성된 이 물시계는 그 당시 천문학 연구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자격루 복원
자격루 복원 모형

옥루: 장영실의 천상시계 예술

옥루는 장영실이 대호군으로 승진한 후에 만든 자동물시계로, 그의 예술적인 재능과 성취를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입니다.

 

 

옥루사진
천문시계 옥루 복원모형

 

 

옥루내부구조사진
옥루 내부구조

 

 

옥루 복원 기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574089#home

 

조선 최첨단 물시계, 장영실의 '흠경각옥루' 581년만에 복원 | 중앙일보

연구책임자인 윤용현 국립중앙과학관 과학유산보존과장은 "옥루는 장영실이 중국을 찾아 북송 시절의 물시계 수운의상대 등을 보고 관련 문헌을 수집한 뒤 조선에 돌아와 만든 것"이라며 "수차

www.joongang.co.kr

 

 

조선시대 천문과학연구소, 경복궁 흠경각

 

위치는 경회루(慶會樓) 동남쪽이었다. 1438(세종 20) 1월 호군(護軍) 장영실(蔣英實)이 완성해 놓은 흠경각과 옥루는 적어도 6년 이상 걸려 계획되고 만들어진 것으로, 그 경위와 이 장치의 교묘한 작용에 대한 설명은 김돈(金墩)흠경각기(欽敬閣記)에 남아 있다.

 

흠경각이라는 이름은 세종이 지은 것으로, 서경(書經)의 요전(堯典)에 나오는 전설에서 요임금이 희씨(羲氏)와 화씨(和氏)에게 명하여 하늘을 공경하여 백성에게 때를 일러준다(欽若昊天 敬授人時).”는 문구에서 유래한다.

 

흠경각 안에 장치된 천문시계는 물의 흐름으로 모든 것이 자동으로 돌아가면서 시간과 천상(天象)이 표시되도록 만든 교묘한 것이었다. 7자 되는 인조산을 종이로 발라 만들고 그 둘레에 금으로 만든 해가 돌게 하였으며, 옥녀(玉女) 넷과 방위신 넷이 시각에 정확히 맞게 움직이고, 다른 인형이 때에 맞추어 종이나 북 또는 징을 치게 되어 있었다. 이처럼 교묘한 시설의 등장은 원나라를 통해서 받아들인 아라비아 천문기구의 영향을 일부 받은 데다 세종과 그 신하들의 창조적인 노력 때문에 가능하였다.

 

15세기까지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자동 물시계를 설치했던 흠경각은 원래 천추전(千秋殿) 서쪽에 세워졌다고 조선왕조실록에 적혀 있으나, 반세기 뒤에 나온 동국여지승람에는 강녕전(康寧殿) 서쪽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지금 정확한 위치를 고증하기는 어려우나 경회루의 동쪽 또는 동남쪽인 것은 확실하다.

 

이 시설은 너무 정교해서 성종대에는 이미 사용되지 못하여 수리한 일도 있고, 1553(명종 8)에는 이 일대가 화재로 타 버려 다음해 사인(舍人) 박민헌(朴民獻) 등을 시켜 복구한 일도 있다.

 

1592(선조 25) 임진왜란 때 경복궁이 모두 불탄 이후 복원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같은 이름의 전각은 1614(광해군 6) 창덕궁에 세워졌고, 그 뒤 1770(영조 46)에는 관상감(觀象監)에 다시 세워졌다. 그 후 흠경각에 무슨 기구가 설치되어 있었는지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현재 복원된 흠경각 사진
복원된 경복궁 흠경각

 

 

장영실을 다룬 영화와 드라마

 

KBS 대하드라마 "장영실"  

유교만이 세계의 질서로 여겨지던 시대에 천출로 태어나 평생을 노비로 살 뻔했으나, 궁에 들어가 15세기 조선의 과학기술을 세계 최고를 만들어 내는 천재 과학자 장영실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

 

대하드라마 장영실의 포스터
드라마 장영실 포스터

 

 

영화 " 천문 : 하늘에 묻는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 세종 관노로 태어나 종3품 대호군이 된 천재 과학자 장영실 20년간 꿈을 함께하며 위대한 업적을 이뤄낸 두 사람이었지만 임금이 타는 가마 안여(安與)가 부서지는 사건으로 세종은 장영실을 문책하며 하루아침에 궁 밖으로 내치고 그 이후 장영실은 자취를 감추는데... 조선의 시간과 하늘을 만들고자 했던 세종과 장영실! 그들의 숨겨진 이야기가 밝혀진다!

 

천문 영화포스터
영화 "천문" 포스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