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름이의 이야기 여행

조선민초실록2, 전염병으로 죽어가는 백성들 본문

한국사이야기/고대~조선(인물과주제)

조선민초실록2, 전염병으로 죽어가는 백성들

푸름이j 2024. 3. 8. 15:48
728x90
반응형

조선의 전염병 이미지
조선시대의 전염병 관련 그림

 

 

 전염병, 백성들의 삶을 무너뜨리다

 

1. 조선시대의 전염병

 

두창

두창은 천연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입니다. 고열, 발진, 피로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사망률이 높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두창이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 중 하나였으며, 특히 16세기와 17세기에 여러 차례 대유행하여 많은 백성들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언해두창집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역병

역병은 페스트균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입니다. 고열, 림프절 비대, 발진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사망률이 높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역병이 여러 차례 유행하여 큰 피해를 입혔습니다. 특히 1592년 임진왜란 당시에는 역병이 크게 유행하여 조선군과 백성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습니다.

역병 관련그림
조선시대의 역병 관련 그림, 네이버 검색

온역

온역은 장티푸스, 발진티푸스, 콜레라 등의 전염병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고열, 설사, 구토, 발진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사망률이 높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온역이 여러 차례 유행하여 많은 백성들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특히 18세기 후반에는 온역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사회에 큰 혼란을 야기했습니다.

 

홍역

홍역은 홍역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입니다. 고열, 기침, 발진, 결막염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홍역이 여러 차례 유행하여 많은 백성들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특히 17세기에는 홍역이 크게 유행하여 전국적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홍역이미지
홍역 관련 이미지

성홍열

성홍열은 A군 용혈성 연쇄상구균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입니다. 고열, 인후통, 발진, 딸기혀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성홍열이 여러 차례 유행하여 많은 백성들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특히 19세기에는 성홍열이 크게 유행하여 전국적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성홍열
성홍열 관련 사진

 

 

조선시대에는 전염병에 대한 예방과 치료 기술이 부족하여 전염병이 유행할 때마다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조선 정부는 전염병의 유행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방역 조치를 취했지만, 큰 효과를 거두지는 못했습니다.

 

2. 전염병이 유행하던 시기와 사망자 수

두창: 조선시대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 중 하나였습니다. 1789(정조 13)에는 약 20만 명이 사망하는 등 여러 차례 대유행을 일으켰습니다.

역병: 1630(인조 8) 30만 명이 사망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혔습니다.

온역: 장티푸스, 발진티푸스, 부정티푸스 등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1592(선조 25) 50만 명이 사망하는 등 높은 사망률을 보였습니다.

홍역: 1763(영조 39) 10만 명이 사망하는 등 유행했습니다.

콜레라: 1873(고종 10) 20만 명이 사망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혔습니다.

 

3. 전염병에 관한 기록물

조선왕조실록: 전염병 발생 시기, 범위, 피해 규모, 정부의 대응 등을 기록했습니다.

의서: 의방유취, 동의보감, 간이벽온방의서에는 전염병의 증상, 치료법, 예방법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일기: 송준길, 이긍익, 유성룡 등의 일기에는 전염병으로 인한 사회 상황과 개인적인 경험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민간 문학: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과 극복을 담은 설화, 노래, 그림 등이 민간 문학에 나타납니다.

 

4. 전염병이 유행하던 시대적 상황

열악한 위생 환경: 도시 인구 증가와 더불어 좁고 비위생적인 주거 환경, 오염된 물 공급, 부족한 하수 시스템은 전염병 확산을 가속화했습니다.

빈번한 자연재해: 홍수, 가뭄, 지진 등 자연재해는 식량 부족과 기근을 초래하여 백성들의 영양 상태를 악화시키고 전염병에 대한 저항력을 약화시켰습니다.

교통 발달: 해상 무역과 국경 통행 증가는 새로운 전염병의 유입과 빠른 확산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의료 기술 부족: 전염병의 원인 및 치료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 부족과 의료 기술의 한계는 사망률을 높였습니다.

 

5. 전염병 유행의 영향

5.1 전염병 유행의 원인

열악한 위생 환경: 도시 인구 증가와 더불어 좁고 비위생적인 주거 환경, 오염된 물 공급, 부족한 하수 시스템은 전염병 확산을 가속화했습니다.

빈번한 자연재해: 홍수, 가뭄, 지진 등 자연재해는 식량 부족과 기근을 초래하여 백성들의 영양 상태를 악화시키고 전염병에 대한 저항력을 약화시켰습니다.

교통 발달: 해상 무역과 국경 통행 증가는 새로운 전염병의 유입과 빠른 확산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의료 기술 부족: 전염병의 원인 및 치료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 부족과 의료 기술의 한계는 사망률을 높였습니다.

 

5.2 전염병 유행의 영향

인구 감소: 높은 사망률은 인구 감소와 노동력 부족을 초래하여 사회 경제 전반에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사회적 혼란: 전염병으로 인한 공포와 불안은 사회적 혼란과 불안정을 야기했습니다.

경제적 침체: 생산 활동 감소와 소비 위축은 경제 침체를 가속화했습니다.

문화적 쇠퇴: 예술 활동 감소와 교육 기회 축소는 문화적 쇠퇴를 초래했습니다.

 

6. 조선의 전염병 대응

6.1 정부 차원의 대응

병원 설치: 전염병 환자를 위한 전문 병원 설치 (: 의원)

격리 정책: 환자 격리 및 이동 제한 (: 빈집, 사찰 등 활용)

약물 배포: 예방 및 치료 약물 개발 및 백성들에게 배포

예방 접종: 천연두 예방 접종 시행 (18세기 후반부터 본격화)

 

6.2 백성들의 대응

민간 치료법 활용: 한의학, 주술, 기도 등 다양한 방법 활용

위생 개선: 손 씻기, 물 끓여 마시기 등 개인 위생 강조

일상생활 변화: 외출 자제,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공동체 의식 강조: 공동체 차원의 방역 노력 및 환자 돌봄

 

6.3 종교적 대응

제사 및 기도: 역병 퇴치를 위한 제사와 기도

신앙 활용: 부적 착용, 굿 등을 통한 정신적 안정 추구

 

6.4 전염병 대응의 한계

의료 기술 부족: 전염병 원인 및 치료법에 대한 이해 부족

사회적 인식 부족: 전염병에 대한 무지와 잘못된 인식

경제적 어려움: 방역 및 치료 비용 부담으로 인한 어려움

 

6.5 조선시대 전염병 대응의 의의

현대 방역 정책 및 시스템 개발에 대한 중요한 참고자료

과거 사회의 어려움과 대응 과정을 통해 교훈 도출

전염병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및 대비책 마련

 

마무리

조선시대 전염병은 사회에 큰 피해를 입혔지만, 정부의 대응과 백성들의 노력으로 극복해 나갔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오늘날 전염병 방역 및 관리에 중요한 교훈을 주고 전염병 관리와 대응방법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사료로 남아 우리에게

큰 도움을 주며 귀중한 역사로써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