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이야기/근현대(인물과 유적지)

근대화의 꿈 - 석조전

by 푸름이j 2023. 8. 22.
728x90
반응형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1. 석조전의 역사

석조전은  고종황제가 아관파천(러시아공사관으로 옮김) 이후 경운궁(지금의 덕수궁)으로

환궁한지 한 달이 되지않은 1897년 3월에 브라운이 통역관과 함께 경운궁안 지형을 측량했다는

기사가 <독립신문>에 났던 것을 보아 이미 이 때부터 서양식 궁전 건설을

기획한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석조전은 지금 중화전의 서북쪽, 준명당의 서쪽에 위치해 있는데 

1897년에 건립하여 경술국치해인 1910년에 완공되어, 대한제국

역사를 함께 한 역사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근대에 지은 덕수궁에는 서양식 건물인 양관(洋館)이 여러 채 도입되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대한제국의 근대화를 상징하고 황제국으로서의 위용을 보여주기 위해

지은 서양식 궁전이 석조전이라 할 수 있다.

 

대한제국 재정고문이던 영국인 총세무사 존 맥리비 브라운(J. M. Brown)이 건립을 발의했다.

처음에는 경희궁에 지으려 했으나 브라운 권유로 경운궁에 세웠다. 

 

2. 석조전의 특징

동양의 전통 궁궐에서는 정전, 편전, 침전의 기능이 각각 구분되어 있던 것에 비해,

석조전은 서양의 주거 양식을 도입하여 그러한 기능을

하나의 궁전 내부로 통합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3. 석조전의 공사 진행 과정

1897년 ~ 1901년  설계 및 기초공사

1903년 ~ 1906년  구조공사

1907년 ~ 1909년  내부공사

 

4. 석조전의 건립시기의 세계정세
1903년부터 러일전쟁의 전운이 감돌기 시작했다. 대한제국을 먹이로 둔 러시아와 일본 간의 전쟁이었다. 그 긴박한 시기에 고종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자신의 즉위 40주년을 성대하게 기념하기 위해 경운궁 내에 석조전을 건축하였다.

 

5. 석조전의 설계자 -존 레지날드 하딩(J. R. Harding)

 하딩은 석조 건물이 낯선 한국인들에게 공사에 앞서 나무로 1/10 정도 크기의 모형을 만들어 보여주었다. 1900년 5월 26일자 미국 잡지 《아메리칸 아키텍처 앤드 빌딩 뉴스(American Architecture and Building News)》에서 저 모형을 실었다.

석조전의 모형사진
하딩이 제작한 석조전의 모형, 나무위키

 

6. 석조전의 과거와 현재

일제강점기의 석조전
왼쪽부터 1910년대의 석조전(일제강점기)

 

현재의 석조전 모습
현재의 석조전 모습

 

 

7. 석조전의 내부모습

 

석조전 대한제국 역사관은 1층 중앙홀, 귀빈대기실, 접견실 , 대식당, 소식당으로 구성되었고

2층은 황제서재, 황제침실, 황후거실 , 황후침실, 테라스로 구성되었으며 지층은 석조전에서 

일하던 상궁들과 내관들의 공간이었으나 지금은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시실 안내도 사진

 

 

지층전시실사진
석조전 지층전시실, 나무위키

 

 

 

중앙홀사진
석조전1층 - 중앙홀

 

귀빈대기실
석조전 1층 - 귀빈 대기실

 

접견실
석조전 1층 - 접견실

 

대식당
석조전 1층 대식당

 

소식당
석조전 1층 - 소식당

 

테라스
석조전2층 테라스

 

중앙회랑
석조전 2층 중앙회랑

 

황제서재
석조전 2층 황재서재

 

황제침실
석조전 2층 - 황제침실

 

황후거실과 침실
석조전2층  - 황후 거실과 황후침실

 

황후침실
석조전2층  - 활후 침실

 

석조전에 방문하면 실제 외벽도 볼 수 있다 위의 사진에서 보았던

대식당의 한 쪽벽면을 실제 벽면 그대로 두었다.

 

석조전의 실제 외벽 사진
석조전의 실제 벽면

 

 

이렇게 멋지게 지어진 석조전은 순종황제가 즉위하고 나서야 완공합니다.

즉,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박탈당하고  나라를 잃어버렸을 때 완공된 것이죠.

고종은 석조전을 사용해보지도 못하고 돌아가셨답니다.

 

 

 

 

출처

글 네이버 나무위키

그림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자료집 [덕수궁관리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