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이야기/근현대(인물과 유적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독립운동의 상징

by 푸름이j 2024. 2. 10.
728x90
반응형

 

임시정부 일러스트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국민의회, 임시정부를 설립하다

 

 

임시정부 사진
대한민국임시정부 모습 ,  오른쪽부터 순서대로 상하이, 항저우, 충칭의 임시정부 사진 출처: 네이버 검색

 

 

 

1. 암흑속에서 피어난 희망

 

1.1 시대적 요구에 대한 응답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1909년 안중근 의사의 의거로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이후, 한국 독립운동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듭니다. 1910년 한일 강제 병합으로 나라를 잃은 민족은 좌절감에 빠졌지만, 곧 다시 일어나 독립을 향한 굽힐 줄 모르는 노력을 이어갑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해외에 있던 독립운동가들은 하나의 정부를 구성하여 독립 운동을 효율적으로 이끌 필요성을 절감했습니다. 19193.1 운동의 정신을 이어받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설립된 것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대한 응답이었습니다

 

1.2 대한민국 임시정부 설립시기의 시대적상황

- 1차 세계대전: 1차 세계대전은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열강들 사이에 벌어진 전쟁입니다. 이 전쟁은 제국주의와 민족주의의 대립으로 인해 발생하였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국제연맹이 설립되고, 민족자결주의가 확산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독립운동가들에게 독립의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 중일전쟁: 중일전쟁은 1937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과 중국이 전투를 벌인 전쟁입니다. 이 전쟁은 일본의 중국 침략과 중국의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였습니다. 이 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의 일부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이 전쟁은 임시정부와 독립군의 활동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2차 세계대전: 2차 세계대전은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벌어진 전쟁입니다. 이 전쟁은 나치 독일, 일본, 이탈리아 등의 축국과 미국, 영국, 소련 등의 연합국이 대립하였습니다. 이 전쟁은 전 세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 전쟁은 임시정부의 외교와 군사활동에 기회와 도전을 제시하였습니다.

.

2. 독립의지를 결집하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2.1 배경: 3.1 운동의 정신을 이어받다

19193.1 운동의 뜨거운 독립 열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설립으로 이어집니다. 3.1 운동은 민족의 힘을 보여주었고, 임시정부 설립은 독립 운동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2.2 설립 과정: 하나된 목표를 향한 결집

해외 독립운동가들의 협의: 19193, 중국 상하이에서 해외 독립운동가들이 모여 임시정부 설립을 논의했습니다.

대한국민의회 설립: 1919410, 상하이에서 한국인 대표 33명이 모여 대한민국민의회를 설립했습니다.

임시정부 설립: 1919411, 대한민국민의회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설립하고

                        이승만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습니다.

 

 

3. 자주독립을 향한 헌신 

 

3.1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요인물

이승만초대 대통령독립운동의 지도자

 

이승만 사진
초대대통령 이승만사진

 

김구독립운동가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주석백범 김구선생

 

임시정부 국무령, 박은식 선생

 

국무령, 박은식 선생

 

안창호독립운동가교육자신민부 장관

 

교육에 열정을 쏟았던 도산 안창호 선생

 

3.2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요 활동

 

- 외교활동: 임시정부는 중국,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각국에 대표단을 파견하고, 국제연맹에 위임통치 청원서를 제출하였습니다. 또한, 중화민국과 제휴하고, 대일선전포고를 하였습니다. 임시정부는 구미외교위원부를 재건하고, 미국의 대한민국 정부 승인 운동을 지원하였습니다.

 

현재 남아있는 주미한국대사관의 전신인 구미외교위원부건물

 

 

- 군사활동: 임시정부는 독립군, 의열단, 한인애국단 등 무장독립운동단체를 조직하고, 국내외에서 독립전쟁을 벌였습니다. 임시정부는 1940917일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고, 중국국민정부의 협력을 받아 일본군과 전투하였습니다.

광복군 총사령부건물사진
현재 남아있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건물

 

- 선전활동: 임시정부는 독립신문, 독립보, 독립, 독립운동 등의 신문과 잡지를 간행하고, 라디오 방송을 통해 독립운동의 소식과 독립정신을 국내외 동포들에게 전파하였습니다.

독립신문사진
1897년 4월 17일 발행한 독립신문의 1면사진이다. 출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교육활동: 임시정부는 상하이 한국학교, 충칭 한국학교, 한국광복군학교 등의 학교를 설립하고, 독립운동가와 군인들을 교육하였습니다. 또한, 국어, 국사, 국문학 등의 국학 연구와 보급을 하였습니다.

 

 

4. 역경속에서도 멈추지 않은 발걸음

 

4.1  상하이 시기 (1919~1932)

임시정부는 1919411일 상하이 프랑스령지역에 수립되었습니다. 19246월에는 상하이 국제령지역으로

이전하였습니다. 1932128일 상하이사변이 발생하면서 임시정부는 항저우로 피난하였습니다.

 

4.2 임시정부 이동 시기 (1932~1940)

임시정부는 19322월 항저우에서 재수립하였습니다. 19351월에는 자싱으로, 19355월에는 난징으로,

19378월에는 창사로, 19392월에는 치장으로 이동하였습니다. 19402월에는 충칭으로 이동하였습니다.

 

 4.3 충칭 시기 (1940~1945): 임시정부는 1940224일 충칭에서 재수립하였습니다. 1945815

       광복 후에도 임시정부는 충칭에 머물렀습니다. 19451123일 임시정부 주석 김구 등이 환국하였습니다.

 

 

5.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이동배경과 영향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지도 -  내이버검색

 

 

5.1 임시정부 이동 이유

일본의 탄압: 임시정부는 일본의 끊임없는 탄압을 받았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이동해야 했습니다.

활동 기반 확보: 새로운 지역에서 활동 기반을 확보하고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이동했습니다.

국제 사회의 지지 확보: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기 위해 국제 사회와 접근성이 좋은 지역으로 이동했습니다.

 

5.2 주요 이동 도시

상하이: 임시정부가 설립된 곳이며, 초기 활동 기반이었던 곳입니다.

남경: 중국 국민당 정부가 있던 곳이며, 임시정부가 외교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했던 곳입니다.

한커우: 중국 공산당 정부가 있던 곳이며, 임시정부가 군사 활동을 강화했던 곳입니다.

충칭: 중국의 임시 수도였으며, 임시정부가 광복까지 활동했던 곳입니다.

 

5.3 이동이 임시정부 활동에 미친 영향

활동 제약: 이동 과정에서 활동이 제약되고 어려움을 겪기도 했습니다.

새로운 기반 구축: 새로운 지역에서 활동 기반을 구축하며 독립운동을 지속했습니다.

국제 사회 지지 확대: 국제 사회와의 접근성을 높여 지지를 확대했습니다.

 

5.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사적 의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비록 해외에 있었지만,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기관이었습니다. 임시정부는 독립운동의 기반을 마련하고, 국제 사회에 대한민국의 존재를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또한, 독립운동 인력 양성과 민족 의식 고취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728x90
반응형